간포 쓰나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포 쓰나미는 1741년 8월 29일 일본 홋카이도 오시마섬의 분화와 해저 산사태로 인해 발생한 대규모 쓰나미이다. 이 쓰나미는 홋카이도 남부에서 혼슈 서부, 그리고 동해를 건너 조선 강원도까지 영향을 미쳤다. 쓰나미의 높이는 최대 15m에 달했으며, 일본에서 2,000명 이상, 조선에서도 가옥과 선박 피해가 발생했다. 간포 쓰나미는 오시마섬의 분화로 인한 해저 산사태가 주된 원인으로 밝혀졌으며, 홋카이도와 조선(현재의 대한민국)의 역사적, 지리적 연관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재난 공동 대응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지진해일 - 1643년 울산 지진
1643년 울산 지진은 1643년 음력 6월 9일과 10일 경상도 지역에서 발생하여 성벽 붕괴, 관아 붕괴, 지진해일 등의 피해를 입혔으며, 사회적 불안을 야기했다. - 한국의 지진해일 - 호에이 지진
1707년 난카이 해곡에서 발생한 호에이 지진은 도카이 지진과 난카이 지진이 연동된 대규모 지진으로 에도 시대에 막대한 피해를 야기하고 후지산 호에이 대분화를 촉발했다.
간포 쓰나미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1741년 오시마-오시마 화산 폭발 및 간포 메가쓰나미 |
화산 | 오시마 오시마 |
위치 | 홋카이도 해안, 동해, 일본 |
시작일 | 1741년 8월 18일 |
종료일 | 1742년 5월 1일 |
유형 | 불명 |
화산 폭발 지수 (VEI) | 4 |
영향 | 구역 붕괴 및 지역 쓰나미 |
사망자 | 1,467–2,033명 |
지리 | |
좌표 | 위도 41.6° N, 경도 139.4° E |
관련 명칭 | |
일본어 | ja (간포 쓰나미) |
2. 발생 배경
일본은 최소 4개의 주요 및 소규모 판의 수렴대 위에 위치해 있다. 섭입 과정은 아래로 내려가는 해양판이 덮개판 아래 90km에서 100km 깊이에서 탈수 과정을 거치면서 일본의 화산 생성과 관련이 있다.[4]
서해(동해) 동쪽 가장자리를 따라 규모 7.5~8.4의 대형 지진이 1741년에 관측된 파고를 발생시키기에 충분했을 것으로 보이나,[16][17][18][19] 지진의 흔적에 대한 기록이 존재하지 않아 지진 가설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8] 1995년 연구 논문에서는 1741년 지진해일이 1833년과 1983년 지진의 파열 구역 사이의 현재 지진 공백에 있는 판 경계에서 파열된 지진에 의해 발생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20][6]
가능한 대형 지진으로 인한 기록된 흔들림이 없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이 사건이 지진해일 지진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해석했다.[22] 카나모리 히로오가 1972년에 처음 제안한 이러한 사건들은 장주기에서 지진 에너지를 방출하며, 섭입 경계의 가장 얕은 부분을 파열시켜 큰 지진해일의 육상 범람을 발생시킨다.[21]
지진 이론 외에도 극심한 지진해일 육상 범람으로 인해 화산이 붕괴될 가능성도 제기되었으나, 판 경계를 따라 지진 활동을 확인하기 위한 동해 해저 조사는 시도된 적이 없다.[22]
2. 1. 지질학적 배경
일본은 필리핀해판, 아무르판, 오키나와판, 태평양판, 오호츠크판 등 여러 판의 경계에 위치하여 지진 및 화산 활동이 활발하다. 난카이 해곡과 류큐 해구를 따라 필리핀해판이 아무르판 및 오키나와판 아래로 섭입하고, 일본 북부에서는 태평양판이 일본 해구와 쿠릴 해구를 따라 오호츠크판 아래로 섭입한다. 이러한 섭입 과정은 해양판이 90km에서 100km 깊이에서 탈수 과정을 거치면서 일본의 화산 생성과 관련이 있다.[4]오시마섬은 일본해에 위치한 무인도로, 홋카이도의 오시마 반도에서 서쪽으로 약 60km 떨어져 있다.[5] 이 섬은 두 개의 현무암에서 안산암으로 이루어진 성층 화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고 높이는 해발 737m이다. 1741~42년 분화 이전에는 섬의 외딴 위치 때문에 분화 기록이 없지만, 일부 분기공은 기록되었다. 가장 최근의 분화 기록은 1790년이다. 1996년 섬 아래에서 지진 활동이 다시 나타났지만 분화는 일어나지 않았다.[1]
서해(동해) 동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홋카이도 서부 해안과 혼슈 북부 해안에는 유라시아판과 북아메리카판의 미세판인 아무르판과 오호츠크판 사이의 수렴 경계가 있다. 이 수렴 경계는 1833년, 1940년, 1964년 니가타 지진, 1983년 동해 지진, 1993년 홋카이도 남서부 지진 등 역사적으로 많은 지진해일을 유발한 지진의 근원지이다.[15]
2. 2. 오시마섬
홋카이도 섬 오시마 반도에서 서쪽으로 약 60km 떨어진 일본해 상의 무인도이다.[5] 현무암에서 안산암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성층 화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고 높이는 해발 737m이다.1741-42년 분화 이전에는 섬의 외딴 위치 때문에 분화 기록이 없지만, 일부 분기공은 기록되었다. 가장 최근의 분화 기록은 1790년이다. 1996년 섬 아래에서 지진 활동이 다시 나타났지만 분화는 일어나지 않았다.[1]
3. 간포 쓰나미
1741년 8월 18일(간포 원년 7월 8일)부터 오시마섬이 분화하기 시작했고, 히로사키시에서는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지진이 발생했다. 8월 25일부터 28일까지는 마쓰마에정 인근에서 화산재가 내려와 쌓였다.[45] 8월 29일, 오시마섬 분화와 함께 해수면 아래를 포함한 산체 붕괴가 일어나 거대한 쓰나미가 발생했다.[45]
쓰나미는 홋카이도 남부 동해 연안부터 일본 혼슈 시마네현 연안까지, 그리고 동해 건너 조선 강원도 지방까지 도달했다.[45] 도쿄 대학 지진 연구소 하토리 도쿠타로 연구진은 쓰나미 높이를 홋카이도 오토베정에서 10m-15m, 마쓰마에 및 구마이시정에서 6m-12m, 아오모리현 쓰가루에서 2m-7m, 니가타현 사도가섬에서 2m-5m, 이시카와현 노토반도에서 3m-4m, 시마네현 고쓰시에서 1m-2m로 추정했다.[45] 지진해일 규모는 m=3.5(M8.4급)로, 동해에서 발생한 쓰나미 중 가장 큰 규모였다.[45]
마쓰마에번에서는 야마토인(일본인) 사망자 2,083명, 가옥 유실 및 붕괴 791채, 선박 파괴 1,521척의 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마쓰마에 에라 지구에서 사망자 450명이 발생했다. 아이누인(홋카이도 원주민) 피해는 조사되지 않았다.[33] 히로사키번에서는 사망자 33명, 가옥 붕괴 112채, 선박 파괴 167척의 피해가 있었다.[6]
조선왕조실록에는 강원도 평해(현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등 9개 고을에서 바닷물이 육지로 들어와 인가가 잠기고 선박이 파손되었다는 기록이 있다.[47] 이는 조선 시대 5번의 쓰나미 기록 중 하나이다.[48] 당시 조선에서 기록된 쓰나미는 3m-4m 높이로, 울진, 삼척, 평해, 동해, 강릉, 속초 등지에서 3m 이상 닥쳤을 것으로 추정된다.[49]
3. 1. 쓰나미 발생
1741년 8월 18일(간포 원년 7월 8일)부터 오시마 대섬이 분화하기 시작했다. 8월 18일에서 23일 사이에는 히로사키시에서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지진이 발생했고(8월 18일, 20일), 8월 25일부터 28일까지는 마쓰마에정 인근에서 화산재가 내려와 쌓였다.[45] 8월 29일 새벽, 오시마섬이 분화하면서 동시에 해수면 아래 부분을 포함한 산체 붕괴가 일어나 거대한 쓰나미가 발생했다.[45]
쓰나미는 홋카이도 남부 지방 동해 연안 지역부터 일본 혼슈의 시마네현 연안까지 닿았으며, 동해 건너 조선의 강원도 지방에도 쓰나미가 덮쳤다.[45] 도쿄 대학 지진 연구소의 하토리 도쿠타로 연구진들은 당시 쓰나미의 높이가 홋카이도 오토베정에서 10m-15m, 홋카이도 마쓰마에 및 구마이시정에서 6m-12m, 아오모리현 쓰가루에서 2m-7m, 니가타현 사도가섬에서 2m-5m, 이시카와현 노토반도에서 3m-4m, 시마네현 고쓰시에서 1m-2m였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45] 지진해일 규모는 m=3.5로 M8.4급으로 추정되며 동해에서 발생한 쓰나미 중에서는 가장 규모가 큰 것으로 추정된다.[45]
조선에서도 조선왕조실록에 강원도 평해(현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등 9개 고을에서 물이 7-8차례나 들어오며 인가가 물에 수몰되고 선박들이 파손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47] 이는 조선 시기 기록된 총 5번의 쓰나미 기록 중 하나이다.[48] 당시 조선에서 기록된 쓰나미는 대략 3m-4m 높이로, 울진, 삼척, 평해, 동해, 강릉, 속초 등지에서 3m 이상의 쓰나미가 닥쳤을 것으로 추정된다.[49]
3. 2. 쓰나미의 전파 및 피해
1741년 8월 29일, 오시마섬이 분화하면서 산체 붕괴가 일어나 거대한 쓰나미가 발생했다.[45] 이 쓰나미는 홋카이도 남부 동해 연안에서 혼슈의 시마네현 연안까지 도달했으며,[45] 동해 건너 조선의 강원도 지방에도 영향을 미쳤다.[47]
당시 쓰나미의 높이는 홋카이도 오토베정에서 10m-15m, 마쓰마에 및 구마이시정에서 6m-12m, 아오모리현 쓰가루에서 2m-7m, 니가타현 사도가섬에서 2m-5m, 이시카와현 노토반도에서 3m-4m, 시마네현 고쓰시에서 1m-2m로 추정된다.[45] 쓰나미 규모는 m=3.5 (M8.4급)으로 추정되며, 동해에서 발생한 쓰나미 중 가장 큰 규모로 기록되었다.[45]
분화 자체로 인한 사상자는 없었지만, 이어진 쓰나미로 2,000명 이상이 사망했다.[5]
3. 2. 1. 일본 측 피해
마쓰마에번에서는 야마토인(일본인) 사망자 2,083명, 가옥 유실 및 붕괴 791채, 파괴된 선박 1,521척의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33] 특히 마쓰마에의 에라 지구에서는 사망자가 450명에 달했다.[6] 아이누인(홋카이도 원주민)의 피해는 조사되지 않았다.[33] 히로사키번에서도 사망자 33명, 가옥 붕괴 112채, 파괴된 선박 167척의 피해가 발생했다.[6]3. 2. 2. 조선 측 피해
조선왕조실록에는 강원도 평해(현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등 9개 고을에서 바닷물이 육지로 들어와 인가가 물에 잠기고 선박이 파손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47] 이는 조선 시대 기록된 총 5번의 쓰나미 기록 중 하나이다.[48] 당시 조선에서 기록된 쓰나미는 대략 3m 높이로, 울진, 삼척, 평해, 동해, 강릉, 속초 등지에서 3m 이상의 쓰나미가 닥쳤을 것으로 추정된다.[49]4. 쓰나미 발생 원인
간포 쓰나미의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제기되어 왔으며, 현재는 오시마섬의 분화로 인한 대규모 산체 붕괴가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쓰나미 발생 며칠 전부터 오시마섬은 계속 분화했고, 섬에는 산체 붕괴 흔적이 남아있으며, 당시 역사서에는 쓰나미 당시 지진이 있었다는 기록이 없다.[50]
하지만 산체 붕괴 규모에 비해 쓰나미 규모가 너무 크다는 점, 그리고 지진 모델 시뮬레이션 결과 등을 바탕으로, 오시마섬 인근 해저에서 발생한 저주파 지진이 쓰나미를 유발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1993년 홋카이도 남서부 지진 등 역사적으로 기록된 많은 지진해일 유발 지진의 근원지인 유라시아판과 북아메리카판의 미세판인 아무르판과 오호츠크판 사이의 수렴 경계에서 규모 7.5~8.4의 대형 지진이 1741년에 관측된 파고를 발생시키기에 충분했을 것으로 보이나, 지진의 흔적에 대한 기록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지진 가설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8]
4. 1. 산체 붕괴설
쓰나미가 발생하기 수 일 전부터 오시마섬이 계속해서 분화했고, 오시마섬에 산체 붕괴 흔적이 남아 있으며 당시 역사서 기록에는 쓰나미 당시 지진이 일어났다는 기록이 없어[50] 오시마섬 분화와 동시에 산체가 붕괴하여 쏟아진 바위사태 흙과 돌더미가 한꺼번에 바다 속으로 유입되어 거대한 쓰나미를 일으켰다는 설이 지지받고 있다.이후 잠수정을 이용한 해저 지형 조사를 통해 쓰나미 당시 산체 붕괴가 해수면 아래에서까지 발생하였고[51] 확인된 지진해일 퇴적물이나 역사기록상의 쓰나미 높이 등이 해수면 아래 산체 붕괴를 합치면 쓰나미 모델에서와 거의 비슷한 결과가 나와 지바 대학 교수 쓰쿠이 마사시는 "오시마섬 분화로 해수면 아래부분을 포함한 대형 산체 붕괴"로 쓰나미가 일어났다는 설이 사실상 정설이 되었다고 말했다.[51]
4. 2. 저주파 지진설
산체 붕괴 규모에 비해 쓰나미의 높이나 도달 지역 등 그 규모가 너무 크다는 점을 근거로, 오시마 대섬 인근 해저에서 발생한 저주파 지진이 쓰나미의 원인이라는 설도 제기되었다. 이 설은 지진 및 쓰나미 모델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시되었으나, 당시 지진 기록이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8] 카나모리 히로오가 1972년에 처음 제안한 이러한 사건들은 장주기에서 지진 에너지를 방출한다.[21] 이러한 종류의 사건은 저주파 지반 운동으로 인해 인간이 감지하지 못한다. 지진해일 지진은 섭입 경계의 가장 얕은 부분을 파열시켜 큰 지진해일의 육상 범람을 발생시킨다.[21]4. 3. 결론
오시마섬이 분화하면서 해수면 아래까지 포함한 대형 산체 붕괴로 쓰나미가 발생했다는 설이 사실상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51]쓰나미 발생 며칠 전부터 오시마섬은 계속 분화했고, 섬에는 산체 붕괴 흔적이 남아있으며, 당시 역사서에는 쓰나미 당시 지진이 있었다는 기록이 없다.[50] 이러한 점들을 근거로, 오시마섬 분화와 함께 산체가 붕괴하며 쏟아진 바위사태의 흙과 돌더미가 바다로 유입되어 거대한 쓰나미를 일으켰다는 설이 지지를 받았다.
하지만 산체 붕괴 규모에 비해 쓰나미의 높이나 도달 지역이 너무 크다는 점에서, 오시마 인근 해저에서 발생한 저주파 지진이 쓰나미의 원인이라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이후 잠수정을 이용한 해저 지형 조사를 통해 쓰나미 당시 산체 붕괴가 해수면 아래에서도 발생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51] 확인된 지진해일 퇴적물과 역사 기록상의 쓰나미 높이는 해수면 아래의 산체 붕괴를 고려한 쓰나미 모델의 결과와 거의 일치했다. 지바 대학의 쓰쿠이 마사시 교수는 "오시마섬의 분화로 해수면 아래부분을 포함한 대형 산체 붕괴"가 쓰나미의 원인이라는 설이 사실상 정설이 되었다고 말했다.
5. 관련 유물
간포 쓰나미 이후 일본 각지에서는 쓰나미 희생자를 추모하는 "간포 쓰나미의 비"가 세워졌다. 에사시정의 쇼가쿠인과 홋케지, 마쓰마에정의 센류인과 고묘지, 야쿠모정의 무료지에 있는 간포 쓰나미비는 홋카이도 지정 유형문화재이다.[52][53][54][55][56][36][37][38][39][40]
마쓰마에 히로나가가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홋카이도 구찬도에'에는 오시마섬의 분화와 대쓰나미 피해 모습이 그려져 있다.[41][42]
5. 1. 일본
간포 쓰나미 이후 일본 각지에서는 쓰나미 희생자를 추모하는 "간포 쓰나미의 비"가 세워졌다. 에사시정의 쇼가쿠인과 홋케지, 마쓰마에정의 센류인과 고묘지, 야쿠모정의 무료지에 있는 간포 쓰나미비는 홋카이도 지정 유형문화재이다.[52][53][54][55][56][36][37][38][39][40]마쓰마에 히로나가가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홋카이도 구찬도에'에는 오시마섬의 분화와 대쓰나미 피해 모습이 그려져 있다.[41][42]
5. 2. 조선
조선왕조실록에는 간포 쓰나미로 인한 피해 상황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지 않다. 다만, 홋카이도에는 간포 쓰나미의 흔적이 남아있다.참조
[1]
간행물
2022-03-20
[2]
웹사이트
渡島大島 有史以降の火山活動
http://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1-03-30
[3]
웹사이트
Significant Volcanic Eruption
https://www.ngdc.noa[...]
2021-03-30
[4]
논문
Contrasting volcano spacing along SW Japan arc caused by difference in age of subducting lithosphere
2020-09-14
[5]
뉴스
https://www.sankei.c[...]
2021-03-30
[6]
논문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1741 tsunami recorde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http://jkscoe.or.kr/[...]
2021-03-30
[7]
논문
Volcanic origin of the 1741 Oshima-Oshima tsunami in the Japan Sea
https://earth-planet[...]
2007-06-08
[8]
웹사이트
Tsunami Event Information W. Hokkaido Island
https://www.ngdc.noa[...]
2021-03-30
[9]
논문
Volcanic origin of the 1741 Oshima-Oshima tsunami in the Japan Sea
https://earth-planet[...]
2007
[10]
웹사이트
Tsunami Event W. Hokkaido Island
https://www.ngdc.noa[...]
2021-03-30
[11]
웹사이트
Catalog of Tsunamis in Japan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http://tsunami-dl.jp[...]
2021-03-30
[12]
논문
1st article celebrated on July 27, 17, Yeongjo
http://sillok.histor[...]
2021-03-31
[13]
논문
1st article in Gyeongjin on July 18, 17, Yeongjo
http://sillok.histor[...]
2021-03-31
[14]
논문
The effect analysis of 1741 Oshima-Oshima tsunami in the West Coast of Japan to Korea
https://www.kns.org/[...]
2021-03-30
[15]
논문
Volcanic origin of the 1741 Oshima-Oshima tsunami in the Japan Sea
https://earth-planet[...]
2021-03-30
[16]
논문
Manifestation of Hokkaido Southwest (Okushiri) Tsunami, 12 July, 1993, at the Coast of Korea: Statistsl Characteristics Spectul Analysis, and Energy Decay
https://library.lanl[...]
2021-03-30
[17]
논문
The 1741-1742 Activity of Oshima-Ōshima Volcano, North Japan
https://eprints.lib.[...]
Hokkaido University
2021-03-30
[18]
웹사이트
https://www.mlit.go.[...]
2021-03-30
[19]
논문
Quantification of tsunamigenic earthquakes by the Mt scale
https://www.scienced[...]
2021-03-30
[20]
논문
A seismic gap in the eastern margin of the Sea of Japan as inferred from the time-space distribution of past seismicity
1995-03-13
[21]
논문
Mechanism of tsunami earthquakes
https://www.scienced[...]
[22]
논문
https://warp.da.ndl.[...]
Geological Survey of Japan,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2021-03-31
[23]
논문
The 1741 Oshima-Oshima Eruption: Extent and volume of submarine debris avalanche
2001-02-01
[24]
논문
Advances in the study of mega-tsunamis in the geological record
https://hal.uca.fr/h[...]
2020
[25]
논문
Numerical Simulation of the Landslide and Tsunami Due to the 1741 Oshima-Oshima Eruption in Hokkaido, Japan
2019-01-28
[26]
웹사이트
Oshima-Oshima
https://volcano.si.e[...]
Smithsonian Institution
2021-03-30
[27]
웹사이트
渡島大島 有史以降の火山活動
https://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1-03-30
[28]
논문
The effect analysis of 1741 Oshima-Oshima tsunami in the West Coast of Japan to Korea
https://www.kns.org/[...]
2021-03-30
[29]
논문
1st article celebrated on July 27, 17, Yeongjo
http://sillok.histor[...]
2021-03-31
[30]
논문
1st article in Gyeongjin on July 18, 17, Yeongjo
http://sillok.histor[...]
2021-03-31
[31]
웹사이트
データ集1 日本海における地震・津波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4-09
[32]
논문
Volcanic origin of the 1741 Oshima-Oshima tsunami in the Japan Sea
https://earth-planet[...]
2021-03-30
[33]
논문
[講演要旨]寛保津波の被害と北方諸藩の対応
http://www.histeq.jp[...]
歴史地震研究会
2021-07-03
[34]
웹사이트
20 渡島大島 Oshima-Oshima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7-04
[35]
논문
(講演要旨)1741年渡島大島での山体崩壊と津波の数値計算による再現
http://www.histeq.jp[...]
歴史地震研究会
2021-07-05
[36]
웹사이트
正覚院寛保津波の碑
https://bunka.nii.ac[...]
文化庁
2021-06-30
[37]
웹사이트
法華寺寛保津波の碑
https://bunka.nii.ac[...]
문화庁
2021-06-30
[38]
웹사이트
泉龍院寛保津波の碑
https://bunka.nii.ac[...]
文化庁
2021-06-30
[39]
웹사이트
光明寺寛保津波の碑
https://bunka.nii.ac[...]
文化庁
2021-06-30
[40]
웹사이트
無量寺寛保津波の碑
https://bunka.nii.ac[...]
文化庁
2021-06-30
[41]
웹사이트
温故地震 北海道・渡島大島大噴火の巨大津波 絵図に残った凄まじい風景 建築研究所特別客員研究員・都司嘉宣
https://www.sankei.c[...]
産業経済新聞社
2016-06-06
[42]
웹사이트
温故地震 北海道・渡島大島大噴火の巨大津波 絵図に残った凄まじい風景 建築研究所特別客員研究員・都司嘉宣
https://www.sankei.c[...]
産業経済新聞社
2016-06-06
[43]
웹인용
Oshima-Oshima
https://volcano.si.e[...]
Smithsonian Institution
2021-03-30
[44]
웹인용
渡島大島 有史以降の火山活動
https://www.data.jma[...]
일본 기상청
2021-03-30
[45]
웹인용
データ集1 日本海における地震・津波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4-09
[46]
저널
[講演要旨]寛保津波の被害と北方諸藩の対応
http://www.histeq.jp[...]
歴史地震研究会
2021-07-03
[47]
웹인용
강원도의 평해 등 아홉 고을에 해일이 발생하다
https://sillok.histo[...]
국사편찬위원회
2022-08-15
[48]
저널
The effect analysis of 1741 Oshima-Oshima tsunami in the West Coast of Japan to Korea
https://www.kns.org/[...]
2021-03-30
[49]
저널
Volcanic origin of the 1741 Oshima-Oshima tsunami in the Japan Sea
https://earth-planet[...]
2021-03-30
[50]
웹인용
20 渡島大島 Oshima-Oshima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1-07-04
[51]
저널
(講演要旨)1741年渡島大島での山体崩壊と津波の数値計算による再現
http://www.histeq.jp[...]
歴史地震研究会
2021-07-05
[52]
웹인용
正覚院寛保津波の碑
https://bunka.nii.ac[...]
文化庁
2021-06-30
[53]
웹인용
法華寺寛保津波の碑
https://bunka.nii.ac[...]
文化庁
2021-06-30
[54]
웹인용
泉龍院寛保津波の碑
https://bunka.nii.ac[...]
文化庁
2021-06-30
[55]
웹인용
光明寺寛保津波の碑
https://bunka.nii.ac[...]
文化庁
2021-06-30
[56]
웹인용
無量寺寛保津波の碑
https://bunka.nii.ac[...]
文化庁
2021-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